본문 바로가기
𝓽𝓻𝓪𝓭𝓮

2. 수출입 프로세스 한눈에 보기

by blackswan_1993 2025. 7. 10.
반응형

🚢 수출입 프로세스 한눈에 보기

거래조건부터 통관까지, 무역 흐름 정리

안녕하세요. 베트남에서 외노자로 지내며 무역과 관세를 공부하고 있는 블랙스완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무역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했다면, 오늘은 실제로 무역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흐름을 한눈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무역은 단순히 "물건을 주고받는 것" 이상입니다. 계약 → 운송 → 통관 → 결제까지 단계별로 알아야 제대로 된 거래가 가능하죠.


1️⃣ 거래 시작 – 계약 체결

무역의 출발은 **판매자(수출자)**와 구매자(수입자) 간의 **무역계약(Sales Contract)**입니다.
이 계약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됩니다.

  • 품목명과 수량
  • 단가 및 총액
  • 결제 방식 (예: T/T, L/C)
  • 인도 조건 (FOB, CIF, DDP 등)
  • 납기일, 포장 방식 등

이 중에서도 **거래조건(인코텀즈)**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어디까지가 수출자의 책임인지, 어디부터 수입자가 부담하는지를 명확히 정하기 때문입니다.


2️⃣ 수출 준비 – 선적 전 처리

계약이 완료되면 수출자는 물품을 준비하고 포장합니다. 이후 **포워더(운송대행업체)**를 통해 선적 예약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 준비해야 할 서류들도 있습니다.

  • 인보이스(Invoice)
  • 패킹리스트(Packing List)
  • 선적지시서(Shipping Instruction)
  • 수출신고필증 등

수출 신고는 전자 시스템(한국은 Uni-Pass)을 통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포워더업체을 문의하고싶거나 상담하고싶으신 경우 하기 주소로 확인할수 있어요! 

 

포워더케이알

물류 커뮤니티 운영 및 물류기업 정보 제공

www.forwarder.kr

 


3️⃣ 본격 출발 – 운송과 통관

운송 수단은 보통 해상(선박)이나 항공(비행기)로 많이 사용됩니다. (우리나라 국경 특성상)
출발 전과 도착 후에는 반드시 세관에 신고하고 통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하기 세관 신고사이트 (이곳에서 대부분 업무가 이루어지곤 합니다.)

✅ 수출 통관

  • 수출자는 세관에 물품을 신고하고,
  • 필요시 검사를 받은 후
  • 수출허가를 받아 선적이 진행됩니다.

✅ 수입 통관

  • 수입자는 세관에 수입신고를 합니다.
  • 세관은 신고서류를 심사하고, 필요 시 실물검사를 실시합니다.
  • 이후 관세와 부가세 납부 후 물품이 풀립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HS CODE 분류과세가격 산정입니다. 잘못 분류되면 관세 부담이 커질 수 있어요.


4️⃣ 상품 인도 및 결제

물품이 도착하면, 포워더가 화물 인도를 도와주고, 수입자는 물건을 창고에 보관하거나 판매를 시작합니다.
결제는 계약 조건에 따라 미리 완료되었거나, 도착 후 송금(T/T) 등으로 마무리됩니다.

  • L/C(신용장): 은행을 통해 안전하게 거래
  • T/T: 전신환 송금, 빠르지만 리스크 있음

🌏 수출입의 전체 흐름 정리

1. 무역 계약 체결
2. 거래조건 설정 (FOB, CIF 등)
3. 수출 준비 및 포장
4. 선적 예약 및 서류 준비
5. 수출 신고 및 통관
6. 국제 운송
7. 수입 통관 및 관세 납부 8. 물품 인도 및 결제
 

이렇게 여러 단계를 거쳐 하나의 무역 거래가 성사됩니다.
물론 이 과정마다 예외도 있고,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본 흐름을 이해하고 있으면, 문제를 예방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저도 처음엔 ‘무역’이 굉장히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하나하나 단계를 익히고 나니 전체 구조가 보이기 시작했고, 이제는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익숙해졌어요.
이 글이 여러분의 무역 입문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무역계약서에서 자주 나오는 **거래조건 용어들(FOB, CIF, DDP 등)**에 인코텀즈2020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