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A란 무엇인가요?
FTA는 Free Trade Agreement, 즉 ‘자유무역협정’의 줄임말입니다.
나라와 나라 사이에 맺는 협정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교역에 있어서 관세를 없애거나 낮추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베트남이 FTA를 체결한 경우,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상품에 대해 무관세 또는 낮은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죠.
FTA를 활용하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바이어에게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할 수 있어 수출입 거래의 큰 강점이 됩니다.
✅ 관세를 줄이기 위한 핵심: 원산지 증명서
FTA 특혜를 받기 위해선 단순히 "협정국에서 왔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론 부족합니다.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C/O)라는 공식 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증명서는 해당 상품이 협정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생산되었음을 입증하는 서류입니다.
쉽게 말해, “이 물건은 베트남산이 맞아요”라는 걸 증명하는 것이죠.
✅ 원산지 증명서, 어떻게 발급하나요?
발급 방법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 기관발급
- 상공회의소나 세관 등 지정 기관에서 신청 후 발급받는 방식입니다.
- 일반적으로 정식 문서와 심사가 필요합니다.
- 자기발급 (자율발급)
- 일정 조건을 갖춘 인증수출자가 직접 원산지 증명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한-EU, 한-미 FTA에서는 자기발급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Tip: 인증수출자가 되면 절차가 훨씬 간편해지고, 해외 바이어 신뢰도도 높아집니다.
✅ 어떤 제품이 FTA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모든 제품이 FTA 혜택을 받는 건 아닙니다.
품목별로 정해진 원산지 기준(PSR: Product Specific Rule)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산 자동차를 수출한다고 해도, 부품 대부분이 제3국산이라면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 충분히 가공되거나 제조된 제품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하나요?
- 거래 전 FTA 대상 품목인지 확인
→ FTA포털(https://www.ftaportal.go.kr)에서 확인 가능 - 원산지 기준 충족 여부 검토
→ 원재료, 제조공정 등을 고려해 판단 - 원산지 증명서 준비 및 발급
→ 기관 또는 인증수출자를 통한 발급 - 수입 시 세관에 제출하여 관세 혜택 적용
→ 관세 0% 또는 기존보다 낮은 세율 적용
✅ FTA 활용으로 얼마나 절약할 수 있나요?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기본 관세가 8%인데 FTA로 인해 0%가 적용된다면, 1억 원어치 수입 시 무려 800만 원의 절세가 가능합니다.
장기적으로 이런 혜택은 기업의 수익률을 크게 개선시키죠.
✅ 마무리하며
FTA는 단순히 협정 그 자체가 아닌, 잘 활용할 때 가치가 빛나는 무역 도구입니다.
특히 원산지 증명서 관리와 이해는 FTA 활용의 핵심이기 때문에 반드시 공부하고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이제 막 무역을 시작하셨거나, 관세 부담을 줄이고 싶은 분들이라면 FTA와 원산지 증명서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FTA 포털 활용법과 품목별 사례도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궁금한 점이나 필요한 서식이 있다면 메시지 주세요! 함께 성장해나가요 :)